2016년 한국관광공사 사진 공모전 당선작을 알아봅니다.
한국관광공사 관광사진 공모전 당선작
(01) 대상 | 운조루의 봄 | 신형준 | 전라남도 - 구례군 운조루(求禮郡 雲鳥樓)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 중요민속문화재 제8호(1968.11.25 지정)
이 집은 조선 영조 52년 (1776년)에 당시 삼수 부사를 지낸 류이주(柳爾胄)가 세운 것으로
99간 (현존73간)의 대규모 주택으로서 조선시대 선비의 품격을 상징하는 품자형(品字形)의
배치 형식을 보이고 있는 양반가이다.
|
(02) 금상 | 화엄사 홍매화 | 이용재 | 전라남도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 화엄사 홍매화는 조선 숙종때 각황전 준공 기념으로 심어 수령이 300년이 넘고
다른 홍매화보다 꽃색깔이 검붉어서 흑매화(黑梅花)라고 부르기도 한다.
(03) 은상 | 운문사 | 김하영 | 경상북도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
※ 한국 최대의 비구니 강원이 있는 운문사는 물 맑고 산 깊은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에 자리 잡고 있다.
(04) 은상 | 반곡지의 봄풍경 | 이성환 | 경상북도 - 경산시 남산면 반곡리
※ 반곡지는 경산의 젖줄이다.
여기에 아름다운 수양버들 군락지가 동거한다.
수양버들의 반영(反影)은 일품이다.
(05) 특별상 | 목장의 겨울 | 유영복 | 강원도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양떼목장
※ 대관령 양떼목장은 우리나라 유일한 양 목장이다.
특히 설원 한가운데 서 있는 오두막은 ‘화성으로 간 사나이’의 세트장으로 사진촬영 포인트이기도 하다.
(06) 동상 | 까치밥 연등 | 김대호 | 전라남도 - 화순군 화순읍 만연사
※ 화순 만연산 만연사로 떠나는 겨울여행지에는 아름다운 겨울꽃이 핀다.
전남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위치한 만연사는 송광사의 말사로 고려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07) 동상 | 동지새알빚기 | 최관식 | 부산광역시 - 부산진구초읍동 삼광사
※ 부산 삼광사에서 신도들이 동지 팥죽에 쓰일 새알을 빚어 말리고 있다.
삼광사는 대한불교 천태종 힐링사찰로 화려한 연등축제가 CNN에 소개될 만큼 유명하다.
(08) 동상 | 바람섬, 제주 | 이창훈 | 제주도 - 제주돌문화공원
※ 돌하르방 48기 '돌할아버지'들이 쭉 늘어서 있다.
제주돌문화공원은 돌문화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박물관이자 생태공원이다.
(09) 특별상 | 노량진 수산시장 | HAIXIAO | 서울특별시 - Noryangjin Fish Market
※ 1971년 한국냉장이 노량진 수산시장을 운영하다 2002년 수산업협동조합이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6년 3월 시설 현대화로 새로운 문화관광 도매시장으로 도약하고 있다.
(10) 입선 | 별을 쏘다 | 임윤석 | 대구광역시 - 두류공원
※ 대구의 ‘소원 풍등 날리기’ 행사가 큰 화제다. 2016년 4월 30일 대구 두류공원 야구장 일원에서
펼쳐진 달구벌 관등놀이 행사의 피날레를 장식했던 풍등 날리기 영상이 대구시 SNS를 타고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11) 입선 | 우리집이 보인다. | 조한섭 | 경기도 -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 서문
(12) 입선 | 춘천 가는 길 | 박상진 | 강원도 - 춘천시 의암리 의암댐
※ 의암댐(衣巖─)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의암리에 있는 북한강의 댐.
내용 높이 23m, 제방길이 273m, 총저수용량 8000만t, 시설발전용량
4만5000㎾, 유역면적 7,709㎢이다.
(13) 입선 | 가창오리의 군무 | 박종한 | 전라북도 - 고창
※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인 전북 고창, 그중에서도 핵심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동림저수지에 가창오리가 날아들어 화려한 군무를 펼치고 있다.
(14) 입선 | 인천대공원 | 서맹호 | 인천광역시 - 남동구 장수동 산164
※ 인천대공원: 주소 인천 남동구 무네미로 236 (지번) 남동구 장수동 산78
이용시간 동절기 05:00~22:00 하절기 05:00~23:00
(15) 입선 | 양귀비꽃밭의 아침 | 유재운 | 경기도 - 양평군 물의 정원
※ 물의 정원은 경의중앙선 운길산역에서 도보 이동 가능, 600m 정도로 10분소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398 전화번호: 031-590-2783
(16) 입선 | 소등섬의 하루 | 황재순 | 전라남도 -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
※ 소등섬은 장흥군 용산면 남포마을에 위치한 곳으로, 한 부인이 바다로 나간 남편의 무사귀환을
기다리며 작은 등을 밝히고 기도드렸다 해 '소등'이라 명명됐다.
(17) 입선 | 백양사 고불매 | 박종권 | 전라남도 - 장성군 백양사 경내
※ 백양사에는 천연기념물 제486호 고불매라는 홍매나무가 있다.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 고불총림(古佛)을 결성하면서
고불총림의 기품을 닮았다 하여 이 홍매를 '고불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불(古佛)'이란 '인간 본래의 면목'을 뜻한다.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18) 입선 | 눈내리는 전동성당 | 박갑열 | 전라북도 - 전주시 완산구 한옥마을 내
※ 전동성당(殿洞聖堂)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88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전주시 안에 세워진 가장 오래된 성당이자, 호남 전체에서 최초로 세워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 이다.
(19) 입선 | 소래생태공원의 일출 | 김재현 | 인천광역시 -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 소래습지생태공원은 갯벌, 갯골과 폐염전 지역을 다양한 생물군락지 및 철새도래지로 복원시키기
위한 공원조성사업을 2009. 5월 완료하여, 시민의 편안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위치 : 남동구 논현동 1-17번지 일원, 면 적 : 1,561천㎡
(20) 입선 | 보문정의 움직이는 봄야경 | 박태웅 | 경상북도 - 경주시 신평동 150-1
※ 보문정은 경주 보문관광단지내에 위치한 작은 연못이다.
CNN에서 '한국에서 가봐야 할 아름다운 장소' 11위로 선정한 곳이기도 하다.
벚꽃이 아름답기로 유명해 봄이면 사진가들과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21) 입선 | 산사의 겨울 | 정성문 | 전라남도 - 화순군 만연사
※ 만연사는 전남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산(나한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로 1208년(고려 희종 4년)
만연(萬淵) 화상이 개창한 사찰
(22) 입선 | 우전차 작업 | 김광석 | 전라남도 - 보성군 대한2다원
※ 대한다업보성다원 제2농장 및 공장, 전화번호:061-853-2870, 주소:전남 보성군 회천면 회령리 산78
송승헌과 손예진이 주연했던 '여름향기'라는 드라마로 인해 알려진 곳,
우전차는 곡우(穀雨)[4월 20일] 전에 처음 피는 차의 어린 눈과 잎으로 만든 차를 말하는데,
맛과 향이 뛰어나다.
(23) 입선 | 장호항의 여름피서 | 정언모 | 강원도 - 삼척시 근덕면 장호리
※ 장호항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장호리에 있는 어항이다.
삼척 시내에서 25km. 동그랗고 새하얀 해안선이 아름다워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장호항이 있다.
희디흰 모래사장과 기암괴석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맑은 바닷물 속에는 전복과 해삼, 미역과 다시마가
풍성하고, 낚시줄을 던지면 우럭과 광어가 입질하는 그야말로 동화같은 곳이다.
(24) 입선 | 강강술래 | 신형준 | 전라북도 - 고창군 고창읍성
※ 고창 모양성제 축제 : 답성놀이에 참여한 600명의 부녀자들이 저마다의 소원을 빌고 화합을 기원하는
의미로 손에 손을 잡고 강강술래를 재현한다. 장 소 : 고창읍성 잔디광장
(25) 입선 | 추석대목장 | 전영권 | 강원도 - 양양군 전통장터
※ 양양 5일장은 영북지방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전통시장으로
매월 4일, 9일, 14일, 19일, 24일, 29일에 열리고 있다.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남문 5길 9
(26) 입선 | 맥문동 피는 솔숲 | 권기대 | 경상북도 - 상주시 화북면
※ 경북 상주시 화북면 맥문동 솔숲이 전국 사진작가들이 찾아오는 촬영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곳은 솔숲과 맥문동 꽃이 어우러져 사진작가와 화가의 인기를 끌고 있다.
주중에는 200여명, 주말에는 1천여명의 사진애호가들이 방문하고 있다.
(27) 입선 | 바다위의 길 | 원해정 | 충청남도 - 태안군 안면암
※ 안면암(安眠庵):
전화번호:041-673-2333, 주소: 충남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78-7
안면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고 1998년에 창건되었다.
두개의 섬 사이에 있는 부상탑과 부상교가 민물이면 떠오른다.
(28) 입선 | 봉평 메밀꽃 축제 | 이형종 | 강원도 - 평창군 봉평면
※ <봉평 메밀꽃축제>라고 하지만, 공식명칭은 <2016 평창/효석문화제>로
9월 2일(금)~11일(일)까지 10일 동안 봉평면 효석문화마을 일원에서 열리는 문화제이다.
(29) 입선 | 열정 | 김우겸 | 전라북도 - 무주군 덕유산
※ 덕유산(德裕山)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는 산.
덕유산은 소백산맥의 중심부에 솟은 산으로 주봉은 향적봉(香積峰, 1,614m)인데,
남서쪽에 위치한 남덕유산(1,507m)과 쌍봉을 이룬다.
덕유산 향적봉에는 눈꽃과 함께 나무에 미세한 물방울이 얼어서 맺힌 상고대가 탐방객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30) 입선 | 감천문화마을의 야경 | 김성기 | 부산광역시 - 부산 천마산
※ 감천문화마을: 전화번호:051-293-3443, 주소:부산 사하구 감천동
감천동의 ‘감천 문화마을’은 부산의 마추픽추, 산토리니라고도 불릴 만큼
부산의 관광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31) 입선 | 해변의 연인 | 신재수 | 부산광역시 - 다대포 해변
※ 다대포 해변:
을숙도에서 부산 방향으로 맞닿은 곳에 다대포 해변이 있다.
넓은 백사장에 완만한 수심으로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이 방문하기에 적합한 해변이다.
다대포해수욕장 입구에 조성한 "다대포해변공원"도 있다.
다대포해변공원에 있는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가 밤에는 장관을 연출한다.
(32) 입선 | 환상의 나라 | 김주성 | 경상남도 - 산청군 황매산
※ 황매산(黃梅山):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가회면과 산청군 차황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08m. 소백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쪽의 월여산(月如山, 863m)과의 사이에 떡갈재가 있고,
남쪽으로는 천황재를 지나 전암산(傳巖山, 696m)에 이른다.
(33) 입선 | 용비지의 가을 | 유재운 | 충청남도 - 서산시
※ 충남 서산에 자리잡고 서산목장내에 있는 서산 용비지(용비저수지), 일명 용유지라고 한다.
(34) 입선 | 은행잎 비 | 안용관 | 경상북도 - 경주시 강동면
※ 운곡서원(雲谷書院):
안동권씨(安東權氏) 시조인 고려 공신 태사(太師) 권행(權幸)과 조선시대 참판 권산해(權山海),
군수 권덕린(權德麟)을 배향하기 위하여 1784년(정조 8)에 건립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毁撤-부수어서 걷어치움 )되어 1903년 단을 설치하고
재사(齋舍)와 전사청(典祀廳)을 지어 제향하다가 1976년 신라 밀곡사(密谷寺) 터로 추정되는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 청수골에 복원하였다.
(35) 입선 | 백록담의 겨울왕국 | 권용의 | 제주도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 백록담은 흰사슴을 탄 신선이 내려와서 물을 마셨다는 전설에서 기인한다.
능선둘레는 대략 1.7㎞, 화구호의 깊이 110미터 그 넓이는 6만평에 이른다.
백록담에 쌓인 흰 눈을 녹담만설이라 하여 제주10경의 하나, 한라산 정상에 있는
분화구인 백록담은 동서 600미터, 지름 500m, 둘레가 3킬로미터쯤 된다.
(36) 입선 | 구절초와 소나무 | 김국진 | 전라북도 - 정읍
※ 옥정호구절초테마공원:
전북 정읍시 산내면 매죽리 571
망경대 일대 야산에 위치하고 있다. 울창한 소나무 숲 틈새를 하얗게 메운 구절초가 독특한 멋을 자아낸다.
구절초의 하얀 빛과 맑은 햇살, 옥정호의 물안개 등이 한데 어우러지면 산책로를 거닐면서 향기를 만끽한다.
꽃이 만개하는 가을이면 더욱 좋고 축제도 열린다.
(37) 입선 | 오조리에서 본 성산 | 임성복 | 제주도 - 성산읍 오조리
※ 성산은 제주의 대표적 자연 경관 중 하나이다.
정상 분화구의 가장 자리가 성벽처럼 보인다고 해서 성산(城山)이라고 부르며,
정상에서 보는 일출이 아름답다고 해서 일출봉이라 한다.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는 제주도 동쪽 끝 바닷가에 위치하며,
오조리의 옛 이름은 오죨개, 오졸개이다.
(38) 입선 | 설경 | 이상헌 | 충청남도 - 간월도 간월암
※ 간월도 간월암(看月庵):
주소-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전화- 041-668-6624
서산 간월도 간월암(看月庵)은 조그만 암자로, 조선초 무학대사가 중건하였다고 한다.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고 만조시는 물 위에 떠 있는것처럼 보인다.
(39) 입선 | 소나무의 기상 | 김경욱 | 전라북도 - 임실군 국사봉
※ 국사봉(475m)은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과 신덕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모산은 오봉산이다.
주화산에서 광양의 망덕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이 오봉산 직전에서 동남쪽으로 가지를 쳐 빚어
올린 봉우리가 바로 국사봉이다.
국사봉을 일군 산줄기는 운암면 입석리에서 그 맥을 옥정호에 넘겨주고 있다.
(40) 입선 | 까치의 아침산책 | 최영근 | 서울특별시 - 북한산 국립공원
※ 북한산 국립공원:
북한산은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도봉산 포함)은 80.669㎢다.
북한산의 정상은 백운대(836.5m)·인수봉(810.5m)·만경대(799.5m)로 조선시대에는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41) 입선 | 청보리밭 축제 | 황정훈 | 전라북도 - 전북 고창군 공음면
※ 고창 청보리밭 축제(高敞청보리밭祝祭):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있는 학원농장 일원에서 매년 4월 중순~5월 중순에 열리는 청보리밭 축제.
고창청보리밭축제가 열리는 학원농장은 전 국무총리 진의종과 부인 이학 여사가 1960년대 초반
고창군의 야산 약 33만 579㎡를 개간하여 조성하였다.
(42) 입선 | 명동의 밤 | 김은준 | 서울특별시 - 중구 명동
※ 명동(明洞):
서울의 대표적 상업지구로 도·소매업과 금융업 등 서비스 산업의 밀집지역이다.
한국의 상권 중심부의 명동의 밤거리에 이렇게도 분주하게 거리를 거니는 사람들의 마음은 한결같이
오늘도 아름다운 행복이 가득한 눈이 부신 명동의 조명 빛은 한국의 눈을 밝게 비춰주는 맑은 샘물의
빛이다.
(43) 입선 | 달팽이쇼 | 김선옥 | 충청남도 - 태안군
※ 태안군 남면 곰섬 일대에서 수상스포츠 쇼가 열려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한서대학교 해양교육원은 지난달 7월 25일부터 오는 8월 27일까지 매주 토요일 수상스키, 수상오토바이 묘기,
파워보트 경주, 플라이 보드 등 화려한 수상스포츠 쇼를 준비해 관광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수상스포츠 쇼는 매주 토요일 하루 2회(오후 1시, 오후 6시) 각 50분씩 진행되며,
입장료는 무료로 누구나 관람이 가능하다.
(44) 입선 | 시작하는 아침 | 이동욱 | 충청남도 - 논산시 노성면 명재고택
※ 명재고택(明齊故宅):
명재 윤증(1629~1714)은 팔송 윤항의 손자이고, 노서 윤선거의 아들이며, 자는 자인(子人),
호는 명재(明齊),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명재선생은 유계, 권시, 김집, 송시열 등의 학자들에게
성리학을 수학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한옥체험 문의는 041-735-1215, 고택 안마당까지 들어갈 경우에는
논산시 문화관광과(041-746-5401)에 예약을 하면 편리하다.
(45) 입선 | 강원도 오징어 | 양세영 | 경상북도 - 울진 후포항
※ 울진 후포항: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1056
경북 울진의 산세는 경상도의 여느 곳과 달리 우람하고 육중하다.
골이 깊어 이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심심산골 오지마을도 간간이 남아있다.
한 때 강원도 땅이었다는 것이 자랑인지 한탄인지는 몰라도 그 만큼 심산유곡에 빼어난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다는 말로 비유되기도 한다.
(46) 입선 | 백석탄의 가을 | 남기옥 | 경상북도 - 청송군 백석탄
※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계곡에 있는 백석탄(白石灘)은 어떻게 보면 그곳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은 정교한 예술조각의 유려함을 갖추고 있다.
마치 옥 같은 여울속에 알프스 흰 산맥의 일부를 잘라서 갖다 놓은 것 같은 눈빛 연봉은
방호정 맑은 물에서 목욕을 했다는 선녀의 옷자락 같이도 보인다.
(47) 입선 | 눈 내리는 날의 소묘 | 진대곤 | 전라북도 - 전주 한옥 마을
※ 전주한옥마을: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64-1
전화 - 063-222-1000 홈페이지 - tour.jeonju.go.kr/index.9is?content..
이곳에는 한국의 전통 건물인 한옥(韓屋)이 800여 채나 밀집되어 있다.
빠르게 변화는 도시 속에 옛 것을 그대로 간직한 전주한옥마을은 한국의 옛 전통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48) 입선 | 자작나무 이야기 | 김주연 | 강원도 - 인제군 자작나무숲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명품숲: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 자작나무 숲은 산림청에서 1974년부터 1995년까지 138ha에 자작나무 690,000본을
조림하여 현재까지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 25ha를 숲체험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자작나무 숲은 이제 전국적으로 입소문을 타고 트레킹 인구가 급증하여 휴일이거나 단풍철에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49) 입선 | 화려한 공단의 빛 | 박노실 | 전라남도 - 여수시 여수산업단지
※ 여수산업단지:
전남 동부권의 산업 동맥인 여수국가산업단지는 아름다운 야경으로 명성이 높은 곳이다.
여수산업단지의 야경은 진남관, 오동도, 향일암 등과 함께 여수 10경으로 불리며,
공장의 불빛이 하얀 수증기와 어우러져 마치 보석을 깔아놓은 듯 영롱하다.
(50) 입선 | 법회를 마치고 | 장치운 | 전라남도 - 순천
※ 선암사(仙岩寺)
전라남도 순천시의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875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한국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자 대한불교 조계종 제20교구 본사이다.
소설가이자 태백산맥으로 잘 알려진 조정래 작가가 이 곳에서 태어났다.
(51) 입선 | 고운 눈처럼 나빌레라 | 박윤준 | 서울특별시 - 창경궁
※ 창경궁(昌慶宮):
종로구 창경궁로 위치. 사적 제123호,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http://cgg.cha.go.kr
문의전화 02-762-4868
창경궁은 세종대왕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고자 1418년에 지은 수강궁이 그 전신이다.
이후 성종 임금 대로 와서 세조의 비 정희왕후, 덕종의 비 소혜왕후, 예종의 비 안순왕후를
모시기 위해 명정전, 문정전, 통명전을 짓고 창경궁이라 명명했다.
(52) 입선 | 달집 태우기 | 김정현 | 부산광역시 -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제20회 수영전통달집놀이가 진행된다.
지난해보다 5m 커진 높이 25m, 지름 10m 크기의 초대형 달집태우기와 함께
쥐불놀이 체험행사가 열린다.
행사장에는 길이 200m인 소망포가 준비돼 시민과 관광객이 한 해 소망을 적을 수 있다.
(53) 입선 | 부산 마천루 | 황재순 |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 마린시티
※ 마린시티(Marine City)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위치한 과거 수영만 매립지였던 곳에
조성된 주거지 중심의 신도시이다.
마린시티의 야경은 미국 뉴욕이나 홍콩, 일본 도쿄, 중국 상하이에 준하는
한국 최고의 마천루 뷰로 자리잡았다.
(54) 입선 | 도담삼봉의 일출 | 황선영 | 충청북도 - 단양군 도담삼봉
※ 도담삼봉(島潭三峯)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명승지이다.
남한강의 맑고 푸른 물이 유유히 흐르는 강 한가운데 높이 6m의 늠름한 장군봉(남편봉)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첩봉(딸봉)과 오른쪽의 얌전하게 돌아앉은 처봉(아들봉) 등 세 봉우리가 물 위에 솟아있다.
이곳은 조선 개국공신 정도전이 자신의 호를 삼봉이라 할 만큼 젊은 시절을 이곳에서 청유하였다 한다.
(55) 입선 | 세빛 둥둥섬 | 임희정 | 서울특별시 - 반포
※ 세빛둥둥섬: 세빛섬(Some Sevit) 또는 플로팅 아일랜드(Floating Island)는
2006년 서울 시민 김은성씨의 제안으로 서울시에서 수익형 민자사업(BOT)으로 만든 인공섬이다.
한강에 색다른 수변(水邊)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랜드마크를 만들어 보자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가빛, 채빛, 솔빛, 예빛의 네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나 공식 소개에서는 예빛을 뺀 나머지
세 구조물을 세빛섬 구성원으로 소개하고 있다.
채빛섬- ‘동쪽에서 떠오르는 해처럼 활기찬 하루를 여는 찬란한 빛’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수준 높은 요리를 자랑하는 고급레스토랑이 있는 곳이다.
솔빛섬- 솔빛은 ‘한낮의 해처럼 가장 높은 곳에 올라 온 사방을 비춘다’는 뜻으로
전시회나 공연 등의 문화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가빛섬- ‘해질녘 노을빛처럼 하루의 끝을 갈무리하며 아름답고 우아하게 빛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외벽에 설치된 LED로 한강 위에서 아름다운 빛을 뽐내는 섬이 바로 가빛섬이다.
(56) 입선 | 풍물놀이 | 이상헌 | 전라북도 - 김제 지평선 축제장
※ 2016년 제18회 김제지평선축제 축제기간 : 2016.9.29(목) - 10.3(월)
축제장 : 김제벽골제 일원(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로 442)
주최 : 지평선축제제전위원회
4년 연속 문화체육관광부지정 대표축제
(57) 입선 | 창경궁의 저녁 | 오한솔 | 서울특별시 - 종로구 창경궁
※ 창경궁:
창경궁은 세종대왕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고자 1418년에 지은 수강궁이 그 전신이다.
이후 성종 임금 대로 와서 세조의 비 정희왕후, 덕종의 비소혜왕후, 예종의 비 안순왕후를
모시기 위해 명정전, 문정전, 통명전을 짓고 창경궁이라 명명했다.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58) 입선 | 밤의 유혹 | 전영화 | 인천광역시 - 연수구 송도동
※ 송도동(松島洞):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송도국제도시 관할, 면적 24.35㎦, 2016년 9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107,020명
(59) 입선 | 전통한옥의 설경 | 김정애 | 경기도 - 광주 낙선재
※ 한정식집 낙선재: 남한산성이 있는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불당리 194-1 / 031-746-3800
운현궁을 본딴 본채와 정자 모양의 별채 사랑채 모양의 한옥 그리고 계곡옆에
만들어져 있는 원두막과 아름다운 정원 등이 있는 한정식집이다.
(60) 입선 | 용평발왕산 | 이상윤 | 강원도 - 평창군 용평면 발왕산
※ 발왕산(發王山)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도암면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458m. 태백산맥에 속하며 주위에 황병산·박지산·두루봉·옥녀봉 등이 있다.
기반암은 화강편마암이며, 전사면이 급경사이다.
(61) 입선 | 미래도시 | 백종윤 | 인천광역시 - 연수구 송도동
※ 송도동(松島洞):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송도국제도시 관할, 면적 24.35㎦, 2016년 9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107,020명
(62) 입선 | 전동성당 빛의옷을입다 | 김대평 | 전라북도 - 전주시 전동성당
※ 전동성당(殿洞聖堂)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88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전주시 안에 세워진 가장 오래된 성당이자, 호남 전체에서 최초로 세워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 이다.
(63) 입선 | 위양지의 가을 | 황기모 | 경상남도 - 밀양시 삼문동 위양지
※ 경남 밀양시 부북면의 ‘위양지 이팝나무숲’이 전국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되어 공존상을 수상했다.
위양지 이팝나무숲은 밀양 8경 중 하나로 이팝나무와 저수지가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미를 연출하고 있다.
위양지는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든 저수지인 동시에 인위적으로 풍치를
가꾼 명소로 1km정도의 둘레 오솔길과 정자가 있어 풍광을 즐길 수 있다.
(64) 입선 | 한국의 창(窓) - 고창 모양성 | 전재선 |
전라북도 -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 고창읍성(모양성)
※ 고창읍성(高敞邑城)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축 읍성.
사적 제145호. 둘레 1,684m, 높이 3.6m. 모양성이라고도 한다.
(65) 입선 | 천상의 화원 | 김동선 | 전라남도 - 영광 불갑사
※ 불갑사(佛甲寺):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白羊寺)의 말사이다.
1741년(영조 17)이만석(李萬錫)이 쓴 사적비에 의하면 창건연대는 미상으로 되어 있다.
(66) 입선 | 보성강의 봄 | 박세연 | 전라남도 - 곡성군 석곡면
※ 보성강(寶城江):
보성강은 국가하천으로 곡성군의 구간은 목사동면 신기리에서 오곡면 압록리까지 섬진강과 합류하는
약18㎞로서 곡성에서는 대황강이라고도 한다.
전라남도 보성군·장흥군·순천시·곡성군을 북동류하는 강. 길이 126.75㎞. 섬진강의 제1지류이다.
(67) 입선 | 꿈을 실어 ... | 최일원 | 경상북도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문무대왕릉
※ 문무대왕릉(대왕암, 文武大王陵):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에 있는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
개설 사적 제158호.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불린다. 해변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다.
(68) 입선 | 불상 | Smith | 인천광역시 - Songdo
※ 인천 송도 흥륜사(興輪寺):
옥외에 모신 불상의 모습으로 흥륜사는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인천항만이 가까운 관계로
수많은 내외 관광객들이 찾고 있어 여기에 따른 국제선원과 불교박물관. 힐링캠프와,
봉안당 등을 갖추어 한국의 전통문화를 접하고 느낄 수 있는 사찰이다.
등을 맞대고 있는 불상의 모습이 외롭지 않아 보인다.
주소: 연수구 청량로70번길 40-17 전화: 032-834-1131
(69) 입선 | 송도신도시 야경 | 황선영 | 인천광역시 - 송도
※ 송도신도시: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송도국제도시 관할, 면적 24.35㎦, 2016년 9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107,020명
(70) 입선 | 비비양반과 영노 | 유황연 | 서울특별시 - 서울놀이마당
※ 서울놀이마당:
우리 민속과 전통놀이를 시민들에게 널리 보급시키기 위하여 1984년 12월 25일 건립된 서울놀이마당은
우리의 전통 문화를 수시로 공개하고 전수하는 옛 조상들의 멋과 흥에 알맞도록 꾸며진 원형 무대로써
노천공연장이다.
(71) 입선 | 한옥마을 | 정명교 | 전라북도 - 전주시 한옥마을
※ 전주한옥마을:
위치: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교동일대 면적: 298,260㎡
인구현황: 인구 1,322명(남 619, 여 703) / 세대수 653
건물현황 776동(한옥 605, 비한옥 171)
(72) 입선 | 무건리 이끼폭포 | 허흥무 | 강원도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무건리
※ 이끼폭포:
수백년동안 자연이 연출한 이끼폭포가 육백산 아래 용소에 있다.
수 미터(m) 높이에서 쏟아지는 물줄기가 바위에 부딪쳐 물줄기는 산산이 부서지며 굉음을 토한다.
강원 삼척시 도계읍 무건리 산86-1
(73) 입선 | 함백산의 여명 | 정상호 | 강원도 - 태백시 함백산
※ 함백산(咸白山):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573m이다.
동쪽은 매봉산(1,303m), 북쪽은 금대봉(1,418m), 북쪽은 대덕산(1,307m)으로 둘러쌓여
면적 약 38만 950㎡(126만 평)의 지역을 1993년 환경부가 자연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74) 입선 | 고불매 | 조경원 | 전라남도 - 장성군 백양사
※ 장성 백양사 고불매(長城 白羊寺 古佛梅, 천연기념물 제486호):
고목은 매년 3월 말경에 진분홍빛 꽃을 피우는 홍매(紅梅)종류로서, 꽃 색깔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산사의 정취를 돋운다.
아래부터 셋으로 갈라진 줄기 뻗음은 고목의 품위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모양도 깔끔하여 매화
원래의 기품이 살아있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약수리)
(75) 입선 | 폐채석장의 아름다움 | 황선영 | 경기도 - 포천 아트밸리
※ 포천 아트밸리:
2003년부터 버려져 방치되어 있었던 신북면 기지리의 폐채석장의 환경을 복원한 복합 문화예술공간이다.
포천 일대에서 생산된 포천석은 단단한 재질과 화강암의 고유 무늬를 간직하고 있어 청와대, 국회의사당,
인천공항 등 다양한 건축물의 건축자재로 쓰였다.
(76) 입선 | 용연과 방화수류정 | 임영록 | 경기도 - 수원 화성
※ 용연(龍淵)은 방화수류정 밖 용머리바위 아래에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의 풍경을
살려 연못을 파고 작은 섬을 만들어 용연이라 하였다. 가뭄이 들었을때 기우제를 지냈다.
용연은 남쪽 가파른 언덕 위에 있는 방화수류정과 어우러져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동북각루)은 1794년(정조 18)10월19일 완공되었다.
주변을 감시하고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정자의 기능을
함께 지니고 있다.
“꽃을 찾고 버들을 따라 노닌다(방화수류-訪花隨柳)”라는 뜻을 지닌 방화수류정은 독특한 평면과
지붕형태 때문에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화성에서 가장 뛰어나며 다른성곽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평가되고 있다.
(77) 입선 | 생애대의 아침 | 전형숙 | 전라북도 - 완주군 대둔산 생애대
※ 대둔산(大芚山) 생애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과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및 금산군 진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878m이다.
대둔산은 ‘호남의 금강산’이라고 불리며 천여 개의 암봉이 6㎞에 걸쳐 이어져 수려한 산세를 자랑한다.
생애대, 낙조대, 태고사, 배티재, 장군약수터 등이 있다.
(78) 입선 | 사랑이 영그는 호수 | 윤정희 | 경상남도 - 창원시의창구 주남저수지
※ 주남저수지(注南貯水池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에 있는 약 180만평 넓이의 저수지이자 철새도래지이다.
인근 구룡산과 백월산에서 흘러내리는 물과 인근의 낙동강 물을 수원으로 산남.주남.동판의 3개
저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79) 입선 | 겨울 강양항 | 윤종구 | 울산광역시 - 울주군 강양항
※ 강양항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강양리에 있는 작은 항으로 겨울에는 멸치잡이 배가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갈매기 떼 사이로 일출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풍경 사진을 담는 사람들에게는
가장 좋은 출사 지역이기도 하다.
그리고 일출뿐만 아니라 일몰의 풍경도 아름다운데 나루터에 정박되어있는 작은 배들 뒤로 떨어지는
해의 모습이 또 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80) 입선 | 고전머리 시연 | 김영순 | 전라북도 - 군산시 은파유원지
※ 군산의 명소 은파호수공원이다. 흔히 은파유원지로 불린다.
야외공연장과 시민이 이용하는 운동공간, 그리고 봄에는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는 곳으로
군산 시민들의 데이트 코스이다.
전북 군산시 미룡동 53-15
(81) 입선 | 수섬 삘기 평원 | 윤종구 | 경기도 - 화성시 송산면 수섬
※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독지리의 수섬에는 은빛물결의 삘기꽃(백모화/白茅花)이
만발한 가운데 일대 장관을 연출한다.
뙤약볕의 하루해가 저물어가는 석양아래 역광으로 반사된 수섬에는 몽환적인 황금빛으로
채색되며 이방인을 손짓한다.
(82) 입선 | 천년의아름다움 | 이소현 | 경상북도 - 경상북도 경주시 안압지
※ 안압지(雁鴨池):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연못.
《삼국사기》 문무왕 14년 2월조에 의하면
“궁 안에 연못을 파고 산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진기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하여
삼국통일을 전후로 조성하기 시작하여 674년(문무왕 14)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83) 입선 | 정방하폭 | 이승환 | 제주도 - 정방폭포
※ 정방폭포(正房瀑布)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심가에서 1.5km 동남쪽에 있는 폭포이다.
2008년 8월 8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43호로 지정되었다.
한라산 남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내리는 애이리내의 남쪽 하단에 발달한 폭포이다.
(84) 입선 | 별이내리는완월정 | 오희재 | 전라북도 - 남원시 광한루
※ 광한루 (廣寒樓):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누각.
보물 제281호. 조선시대의 재상 황희가 남원에 유배가서 1418년 현재보다 규모가 작은 누를 지어
광통루(廣通樓)라 했는데, 1434년 남원부사 민여공(閔汝恭)이 증축했고, 1444년(세종 26)
전라관찰사 정인지(鄭麟趾)에 의해서 광한루라 불리게 되었다.
(85) 입선 | 해상도시 센텀시티 | 이명재 |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 우동
※ 센텀 시티(Centum City)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일원에 조성되는 미래 도시.
센텀 시티는 부산의 밀레니엄 프로젝트 중 가장 핵심 사업이다.
센텀 시티(Centum City)란 라틴 어로 100을 뜻하는 센텀과 시티의 합성어로 100% 완벽한
첨단 기술과 자연이 결합된 미래 복합형 도시를 의미한다.
(86) 입선 | 제주평화축제 | 이경재 | 제주도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조랑말체험공원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마을 공동목장 6만6000㎡ 상당의 부지에 조성한 조랑말체험공원은
△제주 조랑말의 과거와 미래를 한 곳에 모아놓은 조랑말 박물관
△제주 조랑말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조랑말 승마장
△정주형 승마체험을 위한 조랑말캠핑장
△말을 주제로 작품 활동 중인 국내외 작가들의 아트상품숍 등이 어우러지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됐다.
(87) 입선 | 키 작업 | 김정현 | 부산광역시 - 수영구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
※ 수영사적공원 내에 위치한 수영민속예술관은 기존의 민속관과 함께 지역민속예술진흥과 구민들의
민속공연과 전수확대를 위하여 2000년 6월 17일에 개관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회가 위탁관리하고 있으며, 예술관 앞 놀이마당에서는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인 수영야류,제 62호인 좌수영어방놀이, 지방무형문화재 제2호인 수영농청놀이 등의 무형문화재가
정기공연되고 있고, 전수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88) 입선 | 순천만의 가을 | 김국진 | 전라남도 - 순천시 순천만
※ 순천만(順天灣)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남해안으로 돌출한 고흥반도와 여수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순천만의 지리적 위치는 북위 34°49′∼34°57′, 동경 127°30′∼127°35′이다.
북쪽에 보성군과 순천시, 서쪽에는 고흥군, 동쪽에는 여수시 등이 접하여 있으며
만의 북부에 순천시와 서북쪽에는 보성군 벌교읍이 있다.
(89) 입선 | 세량지의 봄 풍경 | 이성환 | 전라남도 -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
※ 세량리(細良里) 세량지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는 세양동(細楊洞) 단일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전남 화순 세량지에 연분홍 산벚꽃이 만개하고 연둣빛 버드나무,
진초록 삼나무 등이 어우러지며 봄빛이 완연하다.
희뿌연 물안개가 피어오른 가운데 세량지의 봄풍경이 호수에 반영되어
파스텔 그림 같은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90) 입선 | 파도치는 주상절리 | 박갑열 | 경상남도 - 경주시 감포면 주상절리
※ 마그마에서 분출한 1000 ℃ 이상의 뜨거운 용암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지표면과 접촉하는 하부와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는 상부에서부터 빠르게 냉각된다.
빠르게 냉각하는 용암은 빠르게 수축하게되어 용암의 표면에는 가뭄에 논바닥이 갈라지듯이 오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의 틈(절리)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냉각수축 작용으로 생긴 틈이 수직한방향으로 연장되어 발달하면 기둥모양(柱狀)의 틈(節理)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주상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라 한다.
(91) 입선 | 찬란한 아침 | 전영화 | 인천광역시 - 인천대공원
※ 인천대공원은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큰 공원이며 인천광역시 인천대공원사업소가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에 있으며, 2005년 7월부터 입장료를 전면 유료화 했다가 관광객, 주민,
이용객 등의 반대로 2007년 1월 1일부터 입장료를 폐지했다.
(92) 입선 | 백양사의 봄 | omega | 전라남도 - Baegyangsa, Jangseong-gun
※ 백양사(白羊寺):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白巖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무왕 33) 여환(如幻)이 창건하여 백양사라고 하였으며,
백암산의 학봉·상왕봉·사자봉·가인봉 등의 절경과 설경 등이 어울려 백양사일대는
예로부터 조선팔경의 하나로 유명했던 곳이기도 하다.
(93) 입선 | 영산교 쥐불놀이 | 김정윤 | 경상남도 - 영산 영산교
※ 경남 합천군 가야산국립공원에는 오색빛깔 단풍이 물들며 만산홍엽(滿山紅葉)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홍류동계곡은 소리길 입구에서 영산교까지 이르는 4㎞ 구간으로 가야산국립공원이 자랑하는 19경 중
16경이 고스란히 모여 있을 만큼 계곡 경관이 수려하고 아름답다.
(94) 입선 | 법고의 울림 | 서미순 | 경상남도 - 양산시 통도사
※ 통도사(通度寺)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영축산(靈鷲山)에 있는 절.
우리 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佛寶·法寶·僧寶로 일컬이지는 세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佛寶)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646년(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95) 입선 | 한강에 연꽃이 피다. | 조한섭 | 서울특별시 - 서초구 반포동 세빛섬
※ 세빛둥둥섬: 세빛섬(Some Sevit) 또는 플로팅 아일랜드(Floating Island)는
2006년 서울 시민 김은성씨의 제안으로 서울시에서 수익형 민자사업(BOT)으로 만든 인공섬이다.
한강에 색다른 수변(水邊)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랜드마크를 만들어 보자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가빛, 채빛, 솔빛, 예빛의 네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나 공식 소개에서는 예빛을 뺀 나머지
세 구조물을 세빛섬 구성원으로 소개하고 있다.
(96) 입선 | 벚꽃핀 석촌호수 | 김양우 | 서울특별시 - 석촌호수 효성해링턴타워주상복합 옥상
※ 송파나루공원(석촌호수)
현재의 석촌호수 북쪽 잠실벌은 서호의 남쪽에 나룻터가 한강이었으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토사가
쌓여 인공 섬이 생기면서 광진교 밑에서부터 잠실야구장까지 지금의 석촌호수를 지나는 송파강과
신천강을 이루는 샛강이 생기게 되었다. 송파대로를 기준으로 동호와 서호로 나뉘어 있는데,
동호는 새벽 조깅코스와 주변 시민들의 휴식처, 산책로로 이용되고,
서호는 롯데월드의 매직아일랜드와 서울놀이마당이 있다.
(97) 입선 | 제주 삼나무 전시림 | 강나혁 | 제주도 - 사려니 오름 탐방로
※ 한라산 자락 한 귀퉁이, 사려니숲은 넓고 깊다.
비자림로 물찻오름 입구에서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사려니오름 부근까지 15km의 숲길과
물찻오름에서 붉은오름을 가는 10km의 숲길이 몽땅 사려니숲이다.
사려니란 산(山)을 뜻하는 제주방언인 ‘솔’에다가 안(內)을 뜻하는 ‘안이’가 붙어 ‘솔아니’로 불려오다가
‘소래니’에서 ‘소려니’로, 다시 ‘사려니’라고 바뀌어 불리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솔은 ‘신령한 곳’이라는 뜻도 품고 있다.
(98) 입선 | 구름도 넘어가는 전망대 | 박갑열 | 전라북도 - 임실군 운암면 국사봉
※ 산중턱에 있는 국사봉(475m) 전망대.
운암대교 입구에서 749번 지방도로를 따라 호수 주위의 구불구불한 길을 달리다보면
국사봉 전망대에 오르게 된다.
임실군 운암면 지역에 속해 있는 이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옥정호 일대는 푸른 물빛과 기암괴석,
울울창창한 수목등이 어우러져 멋진 가을의 풍광을 자아낸다.
(99) 입선 | 수안보의 친절한 산채 밥상 | 민혜경 | 충청북도 - 충주시 수안보면 영화식당
※ 향도 다르고 맛도 다른 24색 산나물 밥상
월악산과 소백산에서 약초 캐는 이들이 20년 이상 산나물을 공급하고 있다는 영화식당은
3월에서 5월이면 산나물 수확이 모두 끝난다.
채취한 산나물은 냉동이나 건조를 거쳐 1년 내내 한결같은 맛과 향으로 밥상에 오를 준비를 마친다.
저장 중인 산나물은 30여 가지, 나물 이름이 적힌 접시도 30여 가지가 준비되어 있다.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물탕1길 11
(100) 입선 | 천상의 평화 | 고수종 | 제주도 - 백약이오름
※ 백약이 오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있는 오름.
백약이오름은 둥글넓적한 굼부리[분화구]를 갖춘 원뿔 모양의 산이다.
오름 북동쪽에는 문세기 오름과 동검은이 오름이 있고, 동쪽에는 좌보미 오름이 있다.
동북쪽 비탈은 주로 초지이지만 나머지 비탈 대부분은 삼나무와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의 평범성의 평범성 (0) | 2017.01.13 |
---|---|
부정적인 말과 노래가 미치는 영향 (0) | 2017.01.08 |
세계 국가 코드 (0) | 2017.01.04 |
아름다운 수석 (0) | 2017.01.04 |
세계의 아름다운 호수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