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자,8자성어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전하사(鯨戰蝦死) '경전하사(鯨戰蝦死)'에 대해 알아봅니다. 경전하사 [鯨戰蝦死] 鯨(고래 경) 戰(싸울 전) 鰕(새우 하) 死(죽을 사) 순오지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鯨戰鰕死 言小者介於兩大而受禍˝ (경전하사 언소자개어양대이수화) 즉 고래싸움에 새우 죽는다는 것은 큰놈들 싸움통에 작은놈이 화를 .. 일구지학 '일구지학(一丘之狢)'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구지학(一丘之狢): 한 언덕에 사는 오소리라는 뜻으로, 서로 구별하기 어려운 같은 종류를 이르는 말 출전 양운(楊惲)은 한(漢)나라 소제(昭帝) 때 승상을 지낸 양창(楊敞)의 아들이며,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자이다.(양운의 어머니, .. 오비이락(烏飛梨落) 오비이락(烏飛梨落)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비이락(烏飛梨落)의 교훈 인과경(因果經)에 이런말이 있다. 우리 속담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오비이락 (烏飛梨落)이라는 말이 있다. 이 이야기는 천태지자 대사의 해원석결 (解寃釋結) 이란 유명한 법문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중.. 난득호도 (難得糊塗) '난득호도 (難得糊塗)'에 대한 글을 알아봅니다. 중국인의 가훈 1호는 "난득호도( 難得糊塗)"라고 합니다. 뜻을 풀이하면 "바보가 되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즉, "똑똑한 사람이 똑똑함을 감추고 바보처럼 사는 건 참 어렵다’라는 뜻입니다. "난득호도"는 청나라 문학가 중 8대 괴인으로 알.. 군주민수(君舟民水) 올해의 사자성어 '군주민수(君舟民水)'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나라 대학교수들이 2016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군주민수'를 선정했습니다. 임금 군(君), 배 주(舟), 백성 민(民), 물 수(水), 다시 말하면 임금은 배, 백성은 물을 의미하는데요. 순자의 왕제 편에서 나오는 말로 "배는 물의 힘으.. 담담타타(談談打打) 담담타타(談談打打)의 뜻을 알아 봤습니다.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란 말과함께 모택동의 유명한 말입니다. 대화하면서 들이치고 들이치면서 대화하란 뜻도되지만 대화하는척하면서 불시에 급습하고, 싸움중에도 대화의 통로를 열어놓으라는 뜻으로도 해석한답니다. 사어유수 활어역수 사어유수(死魚流水) 활어역수(活魚逆水) 8자성어에 대해 알아 본다. 원문은 학문여역수행주 부진즉퇴(學問如逆水行舟 不進則退) '학문을 하는 것은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와 같아서, 끊임없이 정진하지 않으면 후퇴하는 것이다.' 줄여서 역수행주 부진즉퇴(逆水行舟 不進則退) '물길을 .. 무재칠시(無財七施)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