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저지와, 정저와'에 대해 알아봅니다.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장자에는 정와(井蛙)라고만 나와 있습니다.
정정와(井庭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정저지와(井底之蛙) 등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정저지와(井底之蛙) = 정중지와(井中之蛙)의 유래
장자- 추수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황하의 신인 하백이 강물을 따라 처음으로 북해와 동해를 보게 되었습니다.
바다의 크기와 넓이가 강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백이 놀라워하며 북해의 신인 약에게 물으니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우물 안 개구리가 바다에 대해 모르는 것은 사는 곳에 구속된 까닭이며,
여름 벌레가 얼음을 모르는 것은 한 계절에 고정되어 산 까닭입니다.
비뚤어진 선비가 도에 대해서 모르는 것은 세속적인 가르침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대는 좁은 개울에서 나와 큰 바다를 보고서야 자신이 보잘 것 없는 존재라는 것을 알았으니,
이제 그대와 함께 천하의 진리를 논할만하다.
보잘 것 없는 식견을 가진 사람도 더 나은 것을 받아들일 자세를 갖춘다면 얼마든지 바다처럼 넓은 식견을 기를 수 있습니다.
정저지와(井底之蛙), 정중지와(井中之蛙)는 우물안 개구리란 뜻으로 소견이나 견문이 좁거나 세상 물정을 너무 모름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궁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엔, 영, 미 등 투표시 찬반을 Yes, No 아닌 Yea, Nay 쓸까 (0) | 2017.08.05 |
---|---|
금귀월래(金歸月來) (0) | 2017.07.31 |
트램 (0) | 2017.06.23 |
기시감(旣視感) (0) | 2017.06.21 |
갈굼과 팬질 (0) | 2017.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