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에 대해 알아봅니다.
명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수산물 중 하나다. 명태라는 이름은 이유원(1814~88)의 '임하필기'에 전해지는데 명천에 사는 어부 태씨가 잡았다고 해 명천의 명(明)자와 어부의 성태(太)자를 붙였다고 알려져 있다.
전반적인 모양은 대구와 비슷하나 길이가 40∼90㎝로 몸이 홀쭉하고 긴 편이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명태는 건조법, 동결법 등에 따라 다양한 명칭을 지닌다.
얼리거나 말리지 않고 잡은 그대로의 것은 생태, 잡아서 얼린 것은 명태, 말린 것은 북어 또는 건태, 새끼는 노가리로 구분된다.
산란기 중에 잡힌 명태 내장을 빼낸 후 건조대에 걸어 얼었다 녹는 과정을 반복시켜 살이 황금빛으로 연하게 부풀도록 만든 것은 황태로 불린다. 황태와 북어 모두 명태를 말린 것이지만, 북어는 생태를 손질해 바닷바람을 쐬며 그대로 말린 것이고, 황태는 12월에 잡은 싱싱한 명태를 강원도 고산지대에 널어 -10℃ 이하 기온에서 낮에는 햇빛에 녹이고 밤에는 얼리는 과정을 4개월 정도 반복하면서 말린 것이다. 북어는 살이 딱딱하고 매끈하며, 황태는 살에 보푸라기가 생긴 것처럼 부풀어 오르고 노란색을 띠며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황태의 영양성분
황태는 생태가 얼고 녹으며 마르는 반복과정에서 지방과 염분이 씻겨나가 담백한 맛을 낸다. 지방 함량은 낮고, 간을 보호해주는 메티오닌 등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해장 음식으로 좋다. 명태 자체로서도 단백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영양식품이지만, 황태는 명태보다 단백질 및 칼슘·인·칼륨과 같은 무기질 함량이 두 배로 늘어나고,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이 전혀 없는 고급 단백질 식품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또한 황태는 각종 농약이나 오염으로부터 우리 몸을 해독시켜주는 효과가 탁월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고, 혈압을 조절해주며 우리 몸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간의 독소를 빼는 최고 식품
황태에는 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메티오닌이 풍부해 알코올을 분해하고 간의 독소를 빼는 효과가 있어 피로회복과 해장음식으로 좋다. 술 마신 다음 날 시원하게 끓인 황태탕이나 황태국은 몸속의 알코올 성분을 빨리 해독하는 효과가 있다.
황태에는 간을 보호해주는 메티오닌, 리신, 트립토판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포함돼 있고, 심혈관계의 조절과 항산화 효과, 혈중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다.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타우린과 베타인 성분도 풍부하게 들어있다. 미나리 또한 몸의 독소를 빼는 효과가 있고, 콩나물의 알긴산은 술을 해독하는데 좋아 콩나물과 미나리를 듬뿍 넣고 끓인 황태탕은 해장국으로 으뜸이다. 황태 국물은 일산화탄소 중독까지 해독할 만큼 해독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원한’ 황태 콩나물국은 피곤에 지친 간을 회복 시켜주는 천연의 숙취 해소제다.
황태 란 추운 덕장에서 명태를 매달아 놓아 겨울동안 낮에는 녹고 밤에는 얼기를 반복하면서 말린 것이며 아주 부드럽고 감촉이 좋아요.
북어는 옛 부터 명성 있어온 것으로 명태를 바람에 말린 것입니다. 살이 아주 단단하여 먹으려면 많은 손질을 해야 하지만 맛이 너무나 좋아서 북어에 길 드린 사람은 황태는 손도 데지 않는답니다.
북어는 빨래방망이로 다듬잇돌 위에서 두들겨 단단한 살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쪼개고 나서 뱃속의 뼈를 모두 가려내고 집 불에 구워 비벼서 간장에 실파랑 마늘이랑 잘게 썬 빨강고추 파랑고추랑 참기름이랑 양념해 놓으면 과히 신선들의 보양식이라고나 할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지만 요즘가정에서 빨래방망이고 다듬잇돌 들이 없어졌으니 그런 깊은 맛있는 음식문화도 사라지고 없죠. 매우 애석합니다.
뼈를 추린 북어를 물에 푹 불려서 끓이는 미역국 역시 산모들에 겐 천국의 몸조리 약이죠.
북어는 조기와 더불어 제사상에도 오르는데 말린 생선을 바다에서 먼 곳까지 운반하기 쉬웠고 맛도 좋고 잡귀를 쫓는 영험이 있다고 하여 문 위에 매달아두는 풍습도 간혹 볼 수 있습니다.
받은 글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벽한 영양제 달걀 (0) | 2017.07.09 |
---|---|
김치의 효능 (0) | 2017.05.29 |
김치의 효능 (0) | 2017.01.16 |
음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 2016.12.29 |
게미가 있는 천년의 맛 김치 (0) | 201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