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것 같으면서 어려운 띄어쓰기 원칙입니다.
|
|
|
|
● 띄어쓰기 원칙 ● |
|
|
|
1. 낱말과 낱말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
|
|
낱말 : 일정한 뜻을 가진 말의 최소 단위 |
|
|
|
|
|
|
|
|
2.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
|
조사는 명사나 부사 뒤에 쓴다.
예) -이, -마저, -밖에, -에서부터, -으로만, -이나마, -이다, -처럼, -까지나, -도
|
|
|
|
|
|
|
|
|
3.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
|
의존 명사는 명사처럼 홀로 쓰이지 못 하지만 명사 역할을 하는 명사이다.
예) -것, -수, -리, -바, -지(시간), -때, -때문에 따위
|
|
|
|
|
|
|
|
|
4.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
|
예) -마리, -벌, -살, -자루, -켤레
|
|
|
|
|
|
|
|
|
5. 수를 적을 때에는 만 단위로 띄어 쓴다. |
|
|
예) 12억 3456만 7898 |
|
|
|
|
|
|
|
|
6.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때 쓰이는 말은 띄어 쓴다. |
|
|
예) 청군V 대V 백군V, 국장V 겸V 과장, 열V 내지V 스물, ~등 따위
|
|
|
|
|
|
|
|
|
7. 단 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 붙여 쓸 수 있다. |
|
|
예) 이 말 저 말 - 이말 저말, 한 잎 두 잎 - 한잎 두잎
|
|
|
|
|
|
|
|
|
8.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 붙여 씀을 허용 |
|
|
예) <원칙> 비가 올 듯하다. → <허용> 비가 올듯하다. → <단서> 비가 올듯도 하다. |
|
|
|
|
|
9.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 쓰고, 호칭어, 관직명은 띄어 쓴다. |
|
|
예) 김철수, 서화담, 장한솔 씨, 김 과장, 박동식 박사
|
|
|
|
|
|
10.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띄어 씀이 원칙이나 단위별로 붙여 쓸 수 있다. |
|
|
예) 대한 중학교(○) → 대한중학교(○) |
|
|
|
|
|
11.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이 원칙이나 붙여 쓸 수 있다. |
|
|
예) 만성 골수 백혈병 → 만성골수백혈병
|
|
|
|
|
|
12. 첩어는 붙여 쓴다. |
|
|
예) 깡충깡충, 도란도란, 수군수군
| | |